예원예술대학교

통합검색

예원예술대학교

SITEMAP 예원예술대학교 전체메뉴
전체메뉴닫기
닫기
통합검색
다른 학과 선택하기

문화재보존예술학과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전통을 보존하고 전승시킨다.
문화재학과는 전통문화의 중요성이 고조되고, 문화재에 대한 관심이 늘어가고 있는 시대적 상황에 부합하여 훼손, 소멸되어 가는 전통 문화재를 보존, 전승시키는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학문이다.
전화. 031-869-0556

교육목표

한문 1, 2(Sino-Korea 1, 2)

문화재관리 및 일상생활에서 기초적으로 필요한 한문을 숙지하기 위한 과정으로, 각종 문헌에서 다양하고 평이한 원문을 발췌하여 학습한다.

한국문화론(Study of Korea Culture)

거시적 접근을 통해, 사상적 기반을 비롯한 우리 문화의 형성요인과 한국문화 전반의 성격ㆍ특질 등에 대해 알아본다.

문화재고문 강독(Sino-Korean Readings in Cultural Properties)

기록문화유산 관리를 위한 과정으로 고문서ㆍ전적ㆍ금석문 등 다양한 기록물의 종류ㆍ성격등에 대해 알라보고, 그 내용을 강독한다.

한국미술사(Art History of Korea)

한국미술의 모든 장르를 각 시대마다 특징과 사회현상을 배워 장르별 양식적 특징을 파악하고 문화적 차이를 익히도록 한다.

한국건축사(History of the Korean Architecture)

우리나라 건축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에 중점을 두어 건축양식, 미술적 성격 등을 살피고 아울러 양식의 변천과정 및 시대성을 논의한다.

문화재보존과학개론(Introduction of Preservation for Cultural Properties)

기존의 유물ㆍ유구와 현재 각 박물관에서 발굴되고있는 유구ㆍ유물들의 진단과 처방을 위해 이학적ㆍ공학적 조사와 연구를 병행하여 문화재 수명연장 방법을 모색해 본다.

문화재구조이론(Construction Theory of Cultural Properties)

목조건조물 문화재, 석조건조물 문화재 등의 구조를 파악하여 실측 또는 보수과정에 이해를 돕고자 한다.

박물관학(Museology)

박물관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아울러 실습을 병행하여 앞으로 전문적인 직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한다.

문화재보존화학개론(Introduction of Chemistry Preservation for Cultural Properties)

문화재 보존처리에 있어서 사용할 약제의 정확성을 위해 분석적, 시약적, 실험적 연구를 기초로 한다.

한국회화사(History of Korean Painting)

회화작품을 중심으로 각각의 시기와 유화 속에서 통용되던 회화관과 양식적 특징을 고려하여 한국인의 미의식과 특성을 규명하여 한국회화를 올바르게 평가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른다.

고건축보수이론(Preservation Theory of the Korean Architecture)

목조건물, 석조건물의 구조이론과 결구방법을 통해 보수 수순, 단계, 방법을 익히도록 한다.

문화재실측(Survey of Cultural Properties)

목조건조물, 석조건조물, 불상, 탱화 등의 실측방법을 배워 문화재제도, 보수, 보존 처리시 원형을 훼손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기초를 쌓는 과정이다.

단청론(The Theory of Korea Architecture Panting)

목조건축의 보호와 아름다움을 위해 선조들이 사용한 외방 방법을 살피고 진채의 채료방법등을 연구하여 이후 목조건축 외장에 전통성을 부여하고자 하는 과정이다.

보존처리규범론(The Theory of Preservation)

세계적인 보존처리 규범을 익혀 문화재를 다루는 전문인으로써 보존처리에 대한 윤리를 갖도록 한다.

한국조각사(The History of the Korean Sculpture)

조각의 예술성을 시대별로 분류하여 각 시대의 양식적 특징을 파악하고 이후 문화재를 담당하는 전문인으로서의 감식안을 갖도록 한다.

고건축시공론(The Theory of Execution in Korean Architecture)

고건축 보수시 부분보수, 전면보수, 새로운 축조법 등 문화재 현장에서 실제 필요한 모든 것을 배운다.

문화재재료연구(Material Study of Cultural Properties)

우리나라 문화재의 성분, 형상 등을 파악하여 시대별 특징을 규명하고 보존처리 시 어떠한 재료를 선별해야 부작용이 없는지의 임상 실험과정이다.

고고학개론(Archaeology)

고고학의 개념과 방법에 대한 기초적인 인식을 높이고 고고학적 자료의 분류법과 해석법을 익히고 고고학적 시기구분법을 개관하고 유적, 유물의 본질을 시대변화에 따라 파악하도록 한다.

문화재 제도(Drawing of the Cultural Properties)

실측을 통해 익힌 목조건조물ㆍ석조건조물의 형상들을 작도하고 나아가 현대에 어울리는 고건축의 새로운 작도법을 캐드를 통해 익힌다.

성곽과 석조물(The Castle and Stone Construction)

성곽 쌓는 법, 성곽의 지역성, 성곽의 재질성 등의 이해에 중점을 두고 석등ㆍ부도ㆍ기초석등의 분류, 양식적 특징들을 익히도록 한다.

동양미술사(Art History of China)

문화의 전파 경로에 의한 중국미술이 우리나라 미술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또한 우리의 미술이 독자적인 면모로 어떻게 변화하게 되었는지를 중국미술의 모든 장르를 이해함으로써 이룩되게 한다.

전시설계(Plan of Exhibition)

박물관 또는 미술관의 일반전시, 특별전시의 전시시 전시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설계법을 터득하여 전문적인 전시설계인 이 되도록 한다.

보존실습기초(The Basis of Practice in Preservation)

보존처리규범론, 문화재재료 연구를 통해 익힌 이론을 문화재 보존처리의 모든 실습에 있어 기초과정인 약품 다루기, 기자재 operating을 배우도록 한다.

철재유물보존관리(Preservation of an Iron Cultural Properties)

발굴된 철재 유물의 급속한 발병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방법을 배운다.

도자유물보존관리(Preservation of the Porcelain)

도자기의 발병원인, 상태파악 등을 통해 도자기를 진단하여 수명연장 방법을 배운다.

일본미술사(Art History of Japanese)

일본미술의 발달사를 배움으로써 일본 미술과 우리 미술과의 동질성, 이질성을 비교하여 우리 문화의 우월성과 특수성을 인지하도록 한다.

화론(The Theory of Korean Panting)

선조들의 미에 대한 비평ㆍ논의 등을 공부함으로써 한국 독자적인 미에 대한 감각을 배우고 감식안을 갖도록 한다.

조명론(The Theory of Illumination in Exhibition)

전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조명방법과 유물에 무해ㆍ유해한 다종 다양한 조명을 공부하여 전시설계에 도움이 되게 한다.

인도미술사(Art History of India)

전통미술이 불교에 의한 영향을 받고 있기에 불교의 개략적인 내용을 터득하도록 하고 불교미술의 근원인 인도미술을 배움으로써 우리 유물의 도상파악과 우리 미술의 양식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갖게 하도록 한다.

유향론(The Theory of Music in Exhibition)

전시의 특성에 따른 음악의 선별과 음향이 각 유물에 끼치는 영향을 배워 보다 효과적이고 유물에 무해한 전시를 할 수 있도록 배우는 교과목이다.

불교회화보존관리(Preservation of Buddhist Painting)

불교회화는 일반회화와 기법, 제작이 다르기 때문에 이 모든 것들을 터득하도록 하며 보존처리 기법을 배운다.

박물관전시실습(Practice of Exhibition)

전시설계, 조명론, 음향론을 공부한 후 직접 박물관에서 전시하는 과정을 실습을 통해 배운다.

고서화보존관리(Preservation of Old Paintings and Documents)

고한국화, 서첩, 문서 등의 재질을 파악하고 보존처리 하는 기법 등을 실기를 통해 익힌다.

전화번호

전화번호

위로
예원예술대학교 전화번호부
닫기